굴절이상 근시,원시,난시란?
굴절이상 비정시 근시, 원시, 난시란?
굴절이상(비정시)란?
정상안은 외부에서 들어온 평행광선이 망막에 정확히 촛점을 맺습니다.
굴절이상이란 눈의 조절을 멈추었을 때 먼 곳의 상이 망막 위에
맺히지 않는 상태로 근시, 원시, 난시를 말합니다.
정시에 비해 다른 것을 비정시 또는 굴절이상이라고 하는데,
근시는 외부에서 들어온 평행광선이 망막보다
앞쪽에 촛점을 맺어져 상이 흐릿하게 보입니다.
원시는 외부에서 들어온 평행광선이 망막 뒤에 촛점을 맺고,
난시는 각막의 굴절력이 균일하지 않아 각도에 따라 들어오는
광선의 촛점이 각각 다른 곳에 맺어져 상이 흐릿하게 보입니다.
굴절이상(비정시)의 종류
정시 : 눈이 조절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6m이상의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볼 때 망막에 초점을 맺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먼거리
물체의 상이 망막에 맺히는 것을 의미하며 안경 교정 없이 잘 보이는 상태입니다.
근시 : 안축이 너무 길거나, 안구의 굴절력이 너무 커서 망막 앞에서 상을 맺는 눈을 말합니다.
가까운 곳의 물체는 비교적 잘 보이나, 먼 거리의 물체는 잘 보이지 않습니다.
근시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굴절성 근시는 안축의 길이가 정상인데 각막이
나 수정체의 굴절력이 지나치게 강한 경우이고, 축성근시는 굴절력은 정상인데 안축이 지나치게 긴 경우입니다.
원시 : 원시는 안구 굴절력에 비해 안구 전후의 길이가 짧아
망막의 뒤쪽에 물체의 상이 맺힙니다. 때문에 먼 곳은 잘보이지만 가까운 것은 잘 보이지 않습니다
안구 전후 길이가 짧아서 일어나는 축성원시와 각막이나 수정체에서 빛을 굴절하는 힘이
약해서 생기는 굴절성 원시가 있습니다.
난시 : 눈의 굴절력이 안구의 모든 면에서 같지 못해 한 점에 초점을 맺지 못하는 것을 난시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람들이운 난시를 가지고 있지만 심할 경우 사물의 뚜렷이 보이지 않고 눈의 피로로 인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굴절이상(비정시)은 렌즈, 안경, 시력교정 수술로 해결 할 수 있으며
이 때 굴절이상의 정도를 디옵터라는 단위로 표현합니다.
'Tip&Tech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약,색맹(색각이상) 이란? (0) | 2022.01.17 |
---|---|
황달 , 눈과 피부가 노랗게 변했다면? (0) | 2022.01.16 |
실명질환 녹내장이란? (0) | 2022.01.16 |
어둠이 안보이는 야맹증 (0) | 2022.01.16 |
공막염과 상공막염이란? (0) | 2022.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