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의 성질 비교
카테고리 없음2020. 9. 21. 01:35
반응형
장기내열성에 의한 분류
그레이드
|
약 어
|
명 칭
|
범용플라스틱
|
PVC
|
염화비닐수지
|
PS
|
폴리스티렌
|
|
HDPE
|
고밀도폴리에티렌
|
|
PP
|
폴리프로필렌
|
|
ABS
|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공중합체수지
|
|
A그룹
(범용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POM
|
폴리아세탈
|
PPO
|
폴리페닐렌옥사이드
|
|
PPE
|
폴리페닐렌옥사이드
|
|
PAm
|
폴리아미드(나일론)
|
|
PC
|
폴리카보네이트
|
|
PBT
|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
|
|
B그룹
(고성능엔지니어링
|
U
|
U폴리머
|
PS F
|
폴리술폰
|
|
PPS
|
폴리페닐렌설파이드
|
|
PEI
|
폴리에테르이미드
|
|
PES
|
폴리에테르술폰
|
|
PAR
|
폴리아릴레이트
|
|
PEEK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
|
PTFE
|
4불화에틸렌수지
|
|
C그룹
(초내열성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PAI
|
폴리아미드이미드
|
PI
|
폴리이미드
|
엔지니어링플라스틱과 강화재료
/
|
유리섬유
|
카본섬유
|
무기필러
|
기계적성질
|
/
|
/
|
/
|
인장강도
|
증가 O
|
대폭증가 O
|
증가 O
|
인장파단신장률
|
감소 X
|
감소 X
|
감소 X
|
굽힘탄성률
|
증가 O
|
대폭증가 O
|
증가 O
|
IZOD충격치
|
증가 O
|
증가 O
|
감소 X
|
테이퍼마모
|
증가 X
|
증가 X
|
증가 X
|
열적성질
|
/
|
/
|
/
|
열변형온도
|
상승 O
|
상승 O
|
상승 O
|
선팽창계수
|
감소 O
|
감소 O
|
감소 O
|
전기적성질
|
/
|
/
|
/
|
체적고유저항
|
±
|
감소±
|
±
|
절연파괴전압
|
±
|
±
|
±
|
유전율
|
±
|
±
|
±
|
기타의성질
|
/
|
/
|
/
|
비중
|
증가 X
|
증가 X
|
증가 X
|
흡수율
|
감소 O
|
감소 O
|
감소 O
|
성형수축률
|
감소 O
|
감소 O
|
감소 O
|
同上의이방성
|
증가 X
|
증가 X
|
감소 O
|
코스트
|
증가 X
|
증가 X
|
±
|
플라스틱의 연속사용온도
플라스틱(유리%)
|
연속사용온도
|
|
(°C)
|
(°F)
|
|
PET(40)
|
130
|
266
|
PA6-6(50)
|
140
|
284
|
PSF(40)
|
150
|
302
|
PESF(40)
|
175
|
347
|
PPS(40)
|
180
|
356
|
PASF(0)
|
185
|
365
|
PI(30)
|
200
|
392
|
POB(0)
|
200
|
392
|
PAI(0)
|
210
|
410
|
FEP(20)
|
210
|
410
|
PTFE(25)
|
260
|
500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축율
수지명
|
수축율
|
PS
|
0.3~0.6
|
ABS
|
(G) 0.2~0.4
|
PP
|
(G) 0.4~1.0
|
PMMA
|
0.2~0.7
|
PA
|
(6) 0.5~1.5
|
(66) 0.8~2.2
|
|
(G) 0.4~0.8
|
|
POM
|
1.8~2.0
|
(G) 0.2~0.6
|
|
PC
|
0.5~0.7
|
(G) 0.2~0.5
|
|
PBT
|
1.1~2.4
|
(G) 0.3~0.9
|
|
강화PET
|
0.2~0.9
|
PPO
|
0.5~0.7
|
(G) 0.1~0.5
|
|
PPS
|
0.2~0.25
|
폴리아릴레이트
|
0.8~1.1
|
폴리에테르설폰
|
0.2~0.6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물성
성질
|
단위
|
ASTM
|
PA6
|
PC
|
POM
|
PET
|
PBT
|
PPO
|
PSF
|
PAR
|
인장강도
|
kg/cm2
|
D1708
|
820
|
650
|
620
|
730
|
560
|
680
|
720
|
750
|
신 도
|
%
|
D1708
|
200
|
130
|
70
|
200
|
250
|
60
|
100
|
60
|
인장탄성율
|
103kg/cm2
|
D1708
|
28
|
25
|
29
|
21
|
22
|
25
|
25
|
20
|
압축강도
|
kg/cm2
|
D695
|
910
|
750
|
1,120
|
1,015
|
850
|
1,100
|
980
|
960
|
굽힘강도
|
kg/cm2
|
D790
|
980
|
900
|
910
|
1,170
|
870
|
950
|
1.100
|
950
|
굽힘탄성율
|
103kg/cm2
|
D790
|
23
|
25
|
26
|
28
|
24
|
25
|
27
|
19
|
충격강도
|
kg,cm/cm
|
D256
|
5.4
|
65
|
8.7
|
4.4
|
4.0
|
25
|
6
|
*38
|
경 도
|
아이조트노치브록크웰
|
D785
|
.. | |||||||
열전도율
|
104cal/sec/cm2/°C/cm
|
/ |
5.8
|
4.6
|
5.5
|
6.9
|
/
|
5.1
|
-
|
-
|
비 열
|
cal/°C/g
|
/ |
0.4
|
0.28
|
0.35
|
0.28
|
0.55
|
0.32
|
0.31
|
-
|
열팽창계수
|
10-5cm/cm2/°C
|
D696
|
8.3
|
6.6
|
8.5
|
6.0
|
8.8
|
5.2
|
5.6
|
-
|
열변형온도
|
°C
|
D648
|
.. | |||||||
18.6kg/cm2
|
/ |
98
|
140
|
110
|
85
|
58
|
130
|
168
|
164
|
|
4.6kg/cm2
|
180
|
143
|
158
|
185
|
150
|
140
|
182
|
-
|
||
연속사용온도
|
°C
|
/ |
110
|
120
|
104
|
120
|
110
|
104
|
168
|
-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광학적 성질
플라스틱
|
광선투과율
Tt
|
굴절율
Nd
|
아이조드충격치
cm.kgf/cm
|
하중휨온도
°C
|
|
종류
|
상품명
|
||||
PMMA
|
CR-39
Lucitel47
PLEXIGLAS V,M1-7
|
89~90
92
91
|
1.50
1.491
1.49
|
12.5~15.2
1.9
2.1
|
140
92
75~88
|
PS
|
/
|
88~90
|
1.59
|
1.4~2.8
|
70~100
|
AS
|
Litac100-PC
|
90
|
1.57
1.5695
|
13.6~16.3
|
80~95
|
MS
|
MAS20(다이셀)
|
90
|
1.5677
|
1.5~2.5
|
85~95
|
PMP
|
TPXMX001
|
>90
|
1.466
|
0.3~12
|
40.5
|
PC
|
Lexan101,103
Panlite L 1225Y
|
86~89
|
1.586
1.5695
|
12~16
|
129~138
|
PA
|
Amidel TN540
|
85
|
1.535
|
5.9
|
124
|
EP
|
Isochemrez
TransLV
|
/
96
|
/
1.53
|
/
8.7
|
/
100
|
PEI
|
Uitem1000(GEP)
|
/
|
1.558
|
5.4
|
200
|
PES
|
Victrex20P(ICI)
|
70.5~74.2
|
1.650
|
8.7
|
203
|
플라스틱 내산성 내알카리성 비교
내 산 성
|
내알카리성
|
저항성이 크다
|
저항성이 크다
|
..불소수지(테프론,PTFE,PFE,PFA,
|
..불소수지(테프론)
|
..CTFE,ETFE 등)
|
..PPS
|
..폴리페닐렌설파이드(Ryton:PPS)
|
..m-PPE(PPO)
|
..폴리에테르술폰(Vectrex:PES)
|
..AS,PS
|
..폴리술폰(PSF)
|
..PSF
|
..변성폴리페닐렌에테르(m-PPE/PPO) | ..PES |
..폴리아미드이미드(토론:PAI) | ..PMP(TPX) |
..폴리에테르이미드(Ultem:PEI)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 ..(UHMWPE) |
..PVC | ..불소수지(PE-CTFE,ETFE등) |
..액정폴리머(Xydar,LCP) | ..에폭시수지 |
..실리콘 | ..폴리에틸렌,폴리부틸렌 |
..에폭시수지 | ..(PE,PB) |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PE,PP) | ..폴리아미드(PA) |
..염화비닐(PVC) | ..PA612>PA66>PA6 |
약간 영향이 있다 | 약간 영향이 있다 |
..폴리이미드(Vespel:PI) | ..폴리플루오르화물비닐리덴(PVDF) |
..폴리메틸펜텐(TPX,PMP) | ..폴리플루오르화물비닐리덴(PVDF) |
..폴리메틸펜텐(TPX,PMP)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
..폴리스티렌,ABS(PS,ABS) | ..실리콘(SI)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 ..폴리에스테르일레스토머(TPEE) |
..폴리플루오르화물비닐리덴(PVDF) | |
..PS-올레핀블록코폴리머 | |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 |
..폴리올레핀일래스토머(TPO) | |
침해받는다 | 침해받는다 |
..폴리아세탈(POM)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 ..폴리카보네이트(PC) |
..폴리카보네이트(PC) | ..폴리아릴레이트(PAR) |
..폴리아미드(나일론PA) | ..강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아이오노머(살린) | ..폴리에테르이미드(PEI) |
..폴리아릴레이트 | ..폴리이미드(PI) |
..(방향족,폴리에스테르,에코놀) | ..페놀수지(PF) |
..폴리에스테르일래스토머(PEE) | ..폴리아미드이미드(PAI) |
..페놀수지(PF)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
..폴리아세탈코폴리머 | |
분해한다 | 분해한다 |
..셀룰로오스계 수지 | ..폴리아세탈호모폴리머 |
..멜라민수지(MF) | ..셀룰로오스계 수지 |
..폴리올레핀일레스토머(TPE) |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의 장단점
나이론의 장점
|
나이론의 단점
|
• 내충격성이 뛰어나다 | • 흡수성이 좋아 치수변화가 있다 |
• 마찰.마모 특성등이 뛰어나다 | • 연화하며 전가절연성이 떨어진다 |
• 전기특성.저온특성이 뛰어나다 | • 건조상태에서는 충격에 약하다 |
• 내약품성이 뛰어나다 | • 열가공의 온도범위가 좁다 |
• 흡수성이 커서 차수변화가 크다 | • 미건조에 의한 열분해 |
• GF강화그레이드는 흡수의 영향이적다 | • 성형수축률이 크다 |
• 자기소화성이 있다 | • 내열의 하중 의존성이 크다 |
POM의 장점
|
POM의 단점
|
• 기계적성질이 뛰어나다 | • 결정화도가 높은 투명품을 얻을 수 없다 |
• 피로성 내크리프성이 뛰어나다 | • 휨,싱크마크 생기기 쉽고,성형수축 높고 타기쉽다 |
• 마찰 마모특성등이 뛰어나다 | • 접착성,열안정성,내후성이 나쁘다 |
• 내약품성이 뛰어나다 | • 강산강알카리에 침식되기 쉽다 |
• 내열성이 좋다 | • 열가공 융착이 곤란하고 충격강도가 낮다 |
• 비등점의 물에서 가수분해된다 | |
PC의 장점
|
PC의 단점
|
• 내충격성이 뛰어나다 | • 피로와 반복충격에 약하다 |
• 내열성,저온특성이 뛰어나다 | • 자기윤활성이 없다 |
• 투명하고 내후성,내광성이 뛰어나다 | • 내열성,내열수성이 나쁘다 |
• 전기특성,치수안정성이 뛰어나다 | • 알카리에 약하고 고온에서 가수분해를 일으킨다 |
• 내크프리성이 뛰어나다 | • 약용제,열,성형,삐뚤어짐등으로 응력균열을 일으킴 |
• 성형수축률이 적다 | • 마찰계수가 크다 |
• 노치붙임,충격강도의 하중의존성이 크다 | |
변성PPE의 장점
|
변성PPE의 단점
|
• 내열성이 뛰어나고 자기소화성이 있다 | • 투명그레이드는 불가능하다 |
• 여러가지 내열레벨의 것을 공급할수 있다 | • 내광,변색성이 나쁘다 |
• 내수성,기계적성질이 대단히 뛰어남 | • 용도에 의해서는 내열성,내충격성의 개량이 필요함 |
• 전기특성이 뛰어나며 비중이 작다 | • 유기용매유등에 녹는다 |
• 성형수축률이 작아서 성형성이 양호하다 | • 내솔벤트 크래크성이 좋지않다 |
• 유기용제엔 녹는데 산.알카리엔 안정적임 | |
PBT의 장점
|
PBT의 단점
|
• 성형성이 뛰어나다 | • 내열수성이 나쁘다 |
• 내열성,내열노화성이 뛰어나다 | • 내알카리성이 나쁘다 |
• 내피로성이 뛰어나다 | • 염소화탄화수소에 녹는다 |
• 마찰,마모특성이 뛰어나다 | • 휨변형이 크다 |
• 전기특성이 뛰어나고 내후성이 좋다 | • 이방성이 크다 |
• 뛰어난 난연그레이드를 공급할 수 있다 | • 충격강도가 작다 |
• 흡수성이 작다 | • 성형수축율이 크다 |
• 내약품성이 좋다 | • 내열의 하중의존성이 크다 |
GE-PET의 장점
|
GE-PET의 단점
|
• 기계적성질이 뛰어나다 | • 고온이나 산알카리중에서 가수분해한다 |
• 내열성이 뛰어나고 크리프 피로가 적다 |
• 유리강화타이프의 공통성으로서 성형수축률,강도
..에 방향성이 있다
|
• 전기특성이 뛰어나고 온도의 영향이 작다 | |
• 내후성이 뛰어나고,흡수성이 작다 | • 성형성이 좋지않다 |
• 유기용매기름에 견디고 약산에 견딜수 있다 | |
불소수지PTFE의 장점
|
불소수지PTFE의 단점
|
• 내열특성이 좋고 저온에도 강하다 | • 강도가 작다 |
• 내약품성이 플라스틱중에서 가장 뛰어나다 | • 변형하기 쉽다 |
• 흡수열이 0이고,비점착성이다 | • 성형성이 나쁘고 사출이나 압출이 곤란하다 |
• 내후성이 뛰어나게 좋다 | • 접착,인쇄등 표면처리가 가능하다 |
• 마모계수가 낮다 | • 치수안정성이 좋지않다 |
• 자기윤활성이 있다 | |
PPS의 장점
|
PPS의 단점
|
• 내열성이 높다(보통240°C강도는 제외) | • 성형조건이 까다롭다(인장,웰드강도등) |
• 치수안정성이 좋다 | • 선팽창계수의 온도의존성이 크다 |
• 자기소화성이 있다 | • 약하다 |
• 2차가공성이 나쁘다 | |
폴리술폰PSF의 장점
|
폴리술폰PSF의 단점
|
• 내열수,스팀성이 좋다 | • 강산에 녹는다 |
• 자기소화성이 있다 | • 유기용제에 녹는다 |
• 치수안정성이 좋다 | • 내자외선성이 나쁘다 |
• 투명하다 | • 충격강도의 노치의존성이 크다 |
• 유동성이 나쁘다 | |
폴리에테르술폰PES의 장점
|
폴리에테르술폰PES의 단점
|
• 자기소화성이 있다 | • 내후성,흡수성이 있다 |
• 투명하다 | • 극성용매에 녹을 수 있다 |
• 내열성이 뛰어나다 | • 노치부의 내충격성이 약하다 |
• 내열수,스팀성이 좋다 | • 강산에 녹을 수 있다 |
• 내크리프성이 있다 | • 성형성이 좋지않다 |
폴리아릴레이트PAR의 장점
|
폴리아릴레이트PAR의 단점
|
• 내열성,내후성이 좋다 | • 유기용제에 녹을 수 있다 |
• 치수안정성,가스밸리어성이 좋다 | • 스트레스크랙성이 나쁘다 |
• 난연성이 있다 | |
폴리이미드PI의 장점
|
폴리이미드PI의 단점
|
• 치수안정성,내마모성이 좋다 | • 알카리 고온시,산에 녹을수 있다 |
• 자기소화성이 있고,내열성이 뛰어남 |
• 흡습성이 높아,치수변화,HDT의 저하를만듬
|
• 내방사선성이 양호하다 | • 무르다 |
PEEK의 장점
|
PEEK의 단점
|
• 내열성으로 자기소화성이 있다 | • 결정화가 불충분할때 아세톤등에 의한 크랙발생 |
• 내열수,스팀성,내약품성이 좋다 | • 성형수축률이 크다 |
• 대단히 강하고,내방사선성이 있다 | |
LCP의 장점
|
LCP의 단점
|
• 내열성,유동성이 좋다 | • 특성에 이방성이 있다 |
• 치수정밀도가 좋다 | • 웰드강도가 약하다 |
PEI의 장점
|
PEI의 단점
|
• 내열성,내후성이 좋고,내약품성이 있다 | • 성형성이 나쁘다 |
• 내방사선성,난연성,내가수분해성이 있다 |
반응형
LIST
댓글()